티스토리 뷰

경영학

거시경제분석1

winnerwards 2023. 10. 19. 00:52

목차



    728x90
    반응형

    1. 경제모형과 경제정책의 분석: IS - LM모형

    1)경제분석의 방법

    (1) 5단계 경제분석의 방법

    경제학은 첫째, 개별 경제변수의 크기를 정하는 문제와 둘쩨, 경제변수 간의 관계ㅖ를 파악하는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변수 크기의 구성요소인 양과 가격에 대해 그래프를 그라면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도출된다.

    일반적으로 가격의 상승에 따라 수요량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는 수요곡선은 음(-)의 기울기를 갖고, 가격상승에 따라 공급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공급곡선은 양(+)의 기울기를 갖는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E를 균형(equilubrium)이라 하고 이 균형점에서 균형 가격과 균형량이 결정된다.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균형 가격으로부터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초과공급(excess supply)이 발생한다.

    초과공급은 생산된 상품의 일부가 팔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떄문에 가격은 하락 압력을 받게 되어 다시 균형 가격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균형 가격으로부터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하는 초과수요(excess demand)가 발생한다.

    초과수요는 생산된 상품보다 사려는 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 떄문에 가격은 상승 압력을 받게 되어 다시 균형 가격으로 복귀하게 된다.

    균형으로 복귀하는 이런 시장의 힘을 안정성(stability)이라 한다.

    경제가 안정적이라면 경제변수 간의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경제변수 A의 변동으로 균형이 이탈되면, 이에 대응하여 경제변수  B가 변동하여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A의 증가(또는 감소)로 이탈된 균형이 B의 증가(또는 상승)로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면 A와 B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하며 이를 부(-)의 관계로 규정한다.

    경제변수 간의 관계는 경제학의 지식을 구성하는데, 이를 파악하기 위한 5단계 분석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_ 공급곡선의 수식을 규정한다.

    2_ 수요곡선의 수식을 규정한다.

    3_ 공급 = 수요의 균형식을 도출한다.

    4_ 균형 하에서 어떤 변수가 변동하면 균형이 이탈된다.

    5_ 새로운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어떤 대응변수의 변동 방향을 파악한다.

    1, 2, 3의 단걔에서 첫 번째 질문인 개별 경제변수의 크기인 양과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4, 5의 단계에서 두 번째 질문인 경제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분석방법은 경제변수의 크기를 균형에서 파악한다는 의미에서 균형 분석(equilibrium analysis)이라 하고,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추상적인 공간인 시장에서 분석이 이루어진다는 외미에서 시장분석(marker analysis)이라 한다.

     

    2) 시장의 분류와 균형 분석

    경제에 존재하는 수많은 시장을 크게 대분류하여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첫째는 상품과 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으로 이를 재화시장(goods market)이라 한다.

    1년 동안 국민경제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최종 거래의 합계를 통상 국민소득(Y : yield)이라 한다.

    상품과 서비스인 실물이 거래되기 위해서는 화폐와 교환되어야 하는데 화폐가 거래되는 시장을 화폐시장(market for money)이라 한다.

    여기서 화폐란 이자율이 0%인 금융자산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실물과 화폐의 거래가 증가하면 경기가 좋아진다고 하고 이의 크기를 총수요(aggregate demand)라 한다.

    총수요에 대응하여 생산을 담당하는 부문을 총공급(aggregate supply)이라고 하고 이는 생산의 2대 요소인 노동과 자본의 투입으로 이루어진다.

    생산함수란 산출량(Y)이 노동(L)과 자본(K)에 의해 규정된느 것을 수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자본이 변동할 수 없는 기간인 단기(short-run)분석에 국한하면 총공급을 규정하는 시장은 노동시장(labor market)과 생산함수가 된다.

    그 밖에 채권시장(bond market)과 회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이 있다.

    균형분석하에서 폐쇄경제(closed economy)를 가정하면 채권시장과 외환시장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여기서 n개의 시장 중 (n-1)개의 시장이 균형이면 나머지 하나의 시장도 균형이 된다는 것을 왈라스의 법칙(Walras' law)이라 한다.

    이를 종합하면 재화시장, 화폐시장, 노동시장 등 개별 시장에 대한 분석은 앞에서 설명한 5단계 경제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재화시장에 대한 5단계 분석방법을 통해 IS곡선이 도출되며, 화폐시장에 대한 5단계 분석방법을 통해 LM곡선이 도출된다.

    그리고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 균형에서 총수요의 크기가 결정된다. 한편 노동시장과 생산함수를 통해 총공급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IS-LM모형에서 결정되는 총수요의 크기가 수요 부족 경제에서는 균형의 크기와 같기 때문에, IS-LM모형을 이용하여 균형 국민소득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수요 부족 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물가 불변의 가정하에서 총수요 모형인 IS-LM모형만으로 균형 국민소득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물가가 변동한다고 가정하면 총수요-총공급모형을 통해 균형 국민소득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가 불변 하의 선진국형 수요 부족 경제를 대상으로 한 IS-LM모형의 분석에 치중하기로 한다.

     

     

     

    반응형

    '경영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경영의 기본 개념  (0) 2023.11.14
    거시경제분석2  (0) 2023.10.22
    예금의 종류(3)  (0) 2023.06.13
    예금의 종류(2)  (0) 2023.06.13
    예금의 종류(1)  (0) 2023.06.12